728x90
반응형
SMALL
의료 영상에 최적화할 수 있는 모델
- 의료 영상처리는 Localization이 중요하며, 픽셀마다의 class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.
- 적은 데이터로 학습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많은 Data Augmentation을 적용했다.
- overlap-tile 기법을 사용해서 매끄러운 Segmentation을 만들 수 있었다.
- 현미경 이미지와 같이 큰 이미지를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나의 이미지를 여러 개의 patch로 나눠 입력으로 사용하는데, 이때 overlap-tile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큰 이미지를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.
- 입력 이미지의 크기는 출력 후 감소하기 때문에 overlap-tile 기법은 출력 패치 크기보다 더 큰 영역을 입력 패치로 사용한다.
- overlaptile 기법의 그림에서 파란색 영역을 입력으로 사용할 때, 테두리의 공백을 마주하는 크기만큼 mirroring하여 채워 넣는다.
- U형태의 네트워크이며, Contracting Path와 Expansive Path로 구분한다.
- Contracting Path
- 전형적인 Convolution Network이며, 3x3 convolution을 반복하며 ReLU, 2x2 Max Pooling(Stride 2) 연산을 포함하는 downsampling 연산이다.
- 각 Layer 마다 채널의 수를 2배씩 증가시킨다. - Expansive Path
- 2x2 convolution 연산을 사용해서 Upsampling한다.
- Contracting Path의 feature map을 연결한다.
- 마지막 1x1 convolution 연산은 64개의 요소를 원하는 클래스 수로 매핑하는데 사용한다. - Data Augmentation으로는 이미지 rotation, shift, disformation을 사용했다.
728x90
반응형
LIST
'Paper > Segment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ombo Loss (0) | 2023.06.14 |
---|---|
Focal Loss ( 초점 손실 함수 ) (1) | 2023.06.13 |
UNet3+ (0) | 2023.06.05 |
U-Net++ (0) | 2023.06.01 |
Segmentation이란? (0) | 2022.03.1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