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Python

1. 자료형

by 띰쥬 2023. 12. 7.
728x90
반응형
SMALL

1. 수 자료형

  • 데이터는 모두 수(Number)로 표현할 수 있다.
  • e 다음에 오는 수는 10의 지수부를 의미한다. ex) 1e9 ->  1 x 10^9
  • 컴퓨터 시스템은 수 데이터를 처리할 때 2진수를 이용하며, 실수형을 저자하기 위해 4바이트 또는 8바이트라는 고정된 크기의 메모리를 할당하기 때문에 컴퓨터 시스템은 대체로 실수 정보를 표현하는 정확도에 한계가 있다.
  • 실수를 정확히 표현하기 위해서 반올림 함수인 round(argument, 반올림위치-1)를 사용한다.
  • (/) 연산자는 나눠진 결과를 기본적으로 실수형으로 처리한다.
  • 나머지 연산자(%), 몫 연산자(//), 거듭제곱연산자(**)

2. 리스트 자료형

  • 리스트 자료형은 배열을 채택한다.
  • 인덱스값을 입력하여 리스트의 특정한 원소에 접근하는 것을 인덱싱이라고 한다.
  • 음의 정수를 넣으면 원소를 거꾸로 탐색할 수 있다.
  • 리스트에서 연속적인 위치를 갖는 원소들을 가져와야 할 때는 슬라이싱을 이용한다. -> a[1:4] => 리스트 a의 2번째 수부터 4번째 수까지 
  • 리스트 컴프리헨션은 리스트를 초기화하는 방법중 하나이며, 조건문과 반복문을 넣는 방식으로 리스트를 초기화할 수 있다. (*컴프리헨션 : 이해력, 압축)
  • 2차원 리스트를 초기화 할 때는 반드시 리스트 컴프리헨션을 이용해야한다. 단순 곱으로 초기화 하면 모두 동일한 객체에 대한 레퍼런스로 인식한다.
  • insert(), remove() -> O(N)
  • remove() 함수로 특정값의 원소를 모두 제거하고 싶다면, remove_set를 만들어 구현하는 것이 시간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.

3. 문자열 자료형

  • 문자열 안에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가 포함되어야 하는 경우, 큰따옴표 내부에 작은 따옴표로 구성하던가 작은따옴표 내부에 큰따옴표로 구성할 수 있다.
  • 또는 백슬래시(\)를 사용하여 포함 가능하다. ex) data = "Sim Ji  \"Woo\" " => Sim Ji "Woo"
  • 리스트 자료형과 같이 인덱싱, 슬라이싱 가능하다.

4. 튜플 자료형

  • 한번 선언된 값을 변경할 수 없다.
  • 리스트는 [] 대괄호,  튜플은 () 소괄호

5. 집합 자료형

  •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
  • 순서가 없다. -> 인덱싱 불가
  • 집합 자료형이 효과적인 경우는 특정한 데이터가 이미 등장한 적인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때이다. -> 리스트 자료형보다 시간복잡도가 낮다. O(1)
  • 합집합(|), 교집합(&), 차집합(-) 연산가능
  • add() : 값을 추가할 때 사용
  • update() : 여러 개의 값을 한꺼번에 추가할 때 사용
  • remove() :  특정한 값을 제거할 때 사용
728x90
반응형
LIST
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자료구조] 배열, 연결리스트  (0) 2023.12.14
[자료구조] 자료구조 개요  (0) 2023.12.13
2. 조건문 / 4. 함수 / 5.입출력  (3) 2023.12.08
Numpy의 clip 함수  (1) 2023.07.04
numpy array 전체 출력  (0) 2023.07.03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