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Python

[자료구조] 자료구조 개요

by 띰쥬 2023. 12. 13.
728x90
반응형
SMALL

1. 자료구조란? 

  • 다수의 자료를 담기 위한 구조이다.
  • 데이터가 많아질수록 상황에 맞는 효율적인 자료구조가 필요하다.

 

2. 자료구조의 필요성?

  • 다수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불필요한 메모리와 계산시간을 낭비하지 않을 수 있다.

 

3. 자료구조의 종류

  1) 선형구조 - 배열, 연결리스트, 스택, 큐

  • 하나의 데이터 뒤에 다른 데이터가 하나 존재한다.
  • 데이터가 일렬로 연속적으로(순차적으로) 연결되어 있다.

  2) 비선형구조 - 트리, 그래프

  • 하나의 데이터 뒤에 다른 데이터가 여러개 존재할 수 있다.

 

4. 프로그램 성능 측정 방법

  • 시간복잡도 :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연산 횟수를 측정한다.
  • 공간복잡도 :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메모리의 양을 측정한다.
  • 공간을 많이 사용하는 대신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이 흔히 사용된다.
  • Big-O 표기법 사용 - 가장 빠르게 증각하는 항만을 표기한다.
  • 공간을 나타낼 때는 MB 단위로 표기한다.

 

 

 

* 해당 글은 패스트 캠퍼스 강의 수강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.

 

728x90
반응형
LIST
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자료구조] 스택, 큐  (0) 2023.12.20
[자료구조] 배열, 연결리스트  (0) 2023.12.14
2. 조건문 / 4. 함수 / 5.입출력  (3) 2023.12.08
1. 자료형  (0) 2023.12.07
Numpy의 clip 함수  (1) 2023.07.04

댓글